역사
-
설립경위
- 일제침략과 6·25전쟁, 월남전 등에서 활약한 애국지사와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1955년 7월 15일 서울 동작동에 설립한 국립묘지의 안장능력이 한계에 이르게 되자 박정희 대통령은 지방 국립묘지 설치검토를 지시하였고, 1976년 4월 14일 충남 대덕군 유성읍 갑동리(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의 현 위치에 대전국립묘지를 설치할 것을 결정하였다.
- 이에 국방부는 1976년 5월 11일 지방 국립묘지 설치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1979년 4월 1일부터 공사를 본격 착수하여 1985년 11월 13일 전체 면적 약 322만㎡(97만 4천평)의 현 국립대전현충원을 준공하게 되었다. 공사기간 중이던 1982년 8월 27일부터 안장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국립대전현충원은 조국과 민족을 위해 장렬히 산화하신 호국영령 및 순국선열을 모시고 그분들의 생전의 업적을 추모하고 있다.
- 이후 국립대전현충원은 2006년 1월 30일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소관부처가 국방부에서 국가보훈처(현 국가보훈부)로 바뀌게 되었다.
-
지형지세
- 국립대전현충원은 문필봉을 조종산(祖宗山)으로 옥녀봉을 주산(主山)으로 하고 있으며, 명산인 계룡산을 태조산(太祖山)으로 삼고 있다. 택리지에 의하면 태조산인 계룡산은 삼각산, 오대산, 구월산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의 역량 있는 큰 터 중 하나라고 한다.
- 문필봉은 형상이 붓끝같이 되어 있어 유래한 이름이며, 우뚝 빼어난 봉우리는 불길이 이는 듯하고, 이 불빛이 성역을 두루 비치고 있는 듯하다. 이 문필봉에서 다시 솟구쳐 내려 이룬 옥녀봉은 마치 옥녀가 금반(金盤)을 대하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 이처럼 국립대전현충원의 지형은 명산인 계룡산의 맥을 이어 받은 문필봉과 옥녀봉을 정점으로 병풍처럼 둘러친 좌우능선이 좌청룡·우백호를 이루고 있어 묘역으로 아주 이상적인 명당(明堂)자리라 하겠다.
묘역조성 경과
-
개요
- 국립대전현충원의 건설 사업은 각 분야별로 전문기관의 설계와 자문을 거쳐 사업을 시행하였으며, 묘역 조성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1단계와 2단계 개발 지역으로 구분 조성하였다.
- 1단계는 1979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1985년까지 7년에 걸쳐 이뤄졌으며, 제2단계는 1994년부터 2003년까지 계획 수립 후 일부 조성하였고, 2004년부터 추가 조성 작업을 거쳐 2018년 5월 제7묘역을 준공하였다.
-
기본방향
- 01
-
한국의 전통미와
현대감각의 조화
- 02
-
자연경관의
최대 보존
- 03
-
전 묘역의
호국공원화
-
제1단계 묘역개발
-
추진배경
- 서울현충원의 안장능력이 포화상태에 도달함에 따라 개발한 국립대전현충원은 호국영현의 영원한 안식처로 자연환경이 최대한 보존되도록 개발하였으며, 특히 전 묘역을 호국공원화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1단계 묘역 개발은 1979년부터 각종 시설물 공사가 시작되어 1985년까지 7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면적 380,982㎡ 이르는 묘역을 조성하였다.
-
추진경위
- 1979. 04. 01 : 건설공사 착공
- 1982. 08. 27 : 사병 안장 시작
- 1985. 02. 28 : 장교 및 경찰 안장
- 1985. 11. 13 : 대전국립묘지(현재 국립대전현충원) 준공
-
제2단계 묘역개발
-
추진배경
- 1985년도에 완공된 국립대전현충원은 계속적인 안장위수 증가로 그에 대한 대비로 2단계 묘역조성 계획을 수립·추진 중에 있다. 2단계 묘역조성의 방향은 이미 개발된 묘역조성지역과 연계하며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존하여 전 묘역을 호국공원화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
추진경위
- 2001. 07. 20 : 애국지사 제3묘역 준공
- 2003. 05. 14 : 장군 제2묘역 및 애국지사 제4묘역
- 2004. 09. 21 : 국가원수묘역 조성
- 2005. 11. 30 : 사병 제3묘역 조성
- 2008. 12. 22 : 애국지사 제3묘역 보완공사 준공
- 2012. 12. 31 : 장·사병 제4묘역 조성
- 2018. 05. 28 : 장·사병 제7묘역 조성
-
묘역현황